오늘은 조직신학 <부르심>에 대해 함께 하겠습니다. 그리스도인에게 '부르심'이란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우리의 정체성과 삶에 직결되는, 혼돈과 오류가 있어서는 안될 중요한 내용입니다.
*부르심
-구원의 순서에 관한 일반적 언급
구원의 순서, 즉 성령님께서 구속 사역을 인간의 마음과 삶에 적용하시는 순서에 관한 논의를 부르심과 중생에 관한 연구로 시작합니다. 이는 인간이 협력하지 않고 구속이 오로지 하나님의 일로만 뚜렷이 나타나는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출발점으로 삼겠다는 의미입니다. 이로써 우리는 인간이 아닌 하나님께서 구속의 과정을 시작하신다는 사실과 구원이 오로지 신적 은혜의 사역이며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와 연합함으로써만 참여하게 되는 사역으로서 우리는 중생의 사역에 의해 그분과 연합하게 된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정합니다.
루터 교도들과 아르미니우스 주의자들 같은 다른 많은 사람은 출발점을 인간에게 두며 구원의 순서에 관한 논의를 구원적 신앙에 관한 논의로써 시작합니다. 이는 구원적 신앙을 구체적으로 인간의 행위로 간주하고 이 행위로써 인간이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구원의 복을 자기 것으로 삼는다고 생각한 결과입니다. 그들은 성령님께서 구속 사역을 적용하시는 일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다만 인간이 그것을 자기 것으로 삼는 일만 언급합니다.
이러한 견해는 인간에게 자유 의지가 있다는 그들의 견해와 분명히 잘 들어맞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하나님을 구원의 주체이자 모든 구속 행위의 주된 원인으로 높이는 한편, 인간이 중생한 뒤에 신앙으로 구원의 복들을 자기 것으로 삼는다는 사실과 회개와 성화같은 일부 구속 행위들에는 성령님과 협력한다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습니다.
*부르심
부르심, 소명에 관해 말할 때 우리가 염두에 두는 것은 하나님께서 죄인들에게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베푸시는 구원을 받으라고 권하시는 자비로운 행위입니다. 이 부르심은 외적일 수도 있고 내적일 수도 있습니다.
외적 부르심과 내적 부르심 모두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로서, 성령님께서 두 일에 모두 역사하시며 두 일에 모두 하나님의 말씀이 도구로 사용됩니다. 단, 외적 부르심과 내적 부르심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외적 부르심은 말씀을 듣는 모든 사람에게 오지만 내적 부르심은 선택된 사람들에게만 옵니다. 성령님의 특별 사역이 없는 외적 부르심은 자연적 삶에만 영향을 끼치지만, 내적 부르심은 내적 혹은 영적 삶에 영향을 끼치고 내적 부르심은 외적 부르심을 구원에 이르는 효과가 있게 만듭니다.
-외적 부르심
성경이 외적 부르심에 관해서 말하는 곳은 대사명(마 28:19; 막 16:15)과 더러는 부름을 받고 더러는 부름을 받지 못한다고 말하는 구절들(마 22:2-14; 눅 14:16-24), 복음이 배척되는 상황에 관해 언급하는 구절들(요 3:36; 행 13:46) 그리고 불신앙의 두려운 죄에 관해 언급하는 구절들(마 10:15; 요 5:40; 요일 5:10)입니다.
외적 부르심이란 죄인들에게 죄 사함과 영생을 얻기 위해서 믿음으로 그리스도를 영접하라고 진지하게 권하면서 그리스도 안에 있는 구원을 소개하고 전달하는 것입니다.
-내적 부르심
하나님께서 죄인들에게 임하는 부르심은 비록 우리가 그것을 외적 부르심과 내적 부르심으로 구분해서 말할지라도 사실상 하나입니다.
성령님의 사역을 통해서 외적 부르심이 내적 부르심으로 귀결되고 내적 부르심 안에서 효과를 발휘합니다. 외적 부르심과 내적 부르심이 하나라는 사실은 루터교도의 주장처럼 내적 부르심이 항상 말씀 선포를 동반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것은 내적 부르심이 항상 말씀 선포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외적 부르심으로써 들려진 동일한 말씀이 죄인의 마음에서 성령님의 역사를 통해 내적 부르심으로써 효과 있게 됩니다.
내적 부르심에는 몇 가지 특징이 있습니다. 첫째, 내적 부르심은 하나님 말씀에 의해 부르심으로써 이 부르심은 성령의 사역에 의해서 구원의 목적으로 적용됩니다. 둘째, 내적 부르심은 강력한 부르심, 즉 구원에 이르는 효과를 내는 부르심입니다. 셋째, 내적 부르심은 후회함이 없는 부르심입니다. 따라서 변하는 일이나 취소되는 일이 생기지 않습니다. 내적 부르심을 받는 사람은 반드시 구원받습니다.
'조직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직신학<종말론2> (0) | 2023.07.01 |
---|---|
조직신학<종말론1> (0) | 2023.06.26 |
조직신학<죄의 본질적 특성> (0) | 2023.06.22 |
조직신학<성경의 특성> (0) | 2023.06.21 |
조직신학<성경> (0) | 2023.06.20 |